목록프레임워크 (11)
혜미의 개발 일지
웹 서버 프로그램이란? 클라이언트이 데이터를 요청하면 DB(서버 프로그램)이 응답을 해주는데 맨땅에 헤딩하는게 불편하여 소켓, RPC가같은게 생기면 HTTP(웹)이 생겼다. 웹프로그램이란 : 서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아니라 서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웹 프로그램에 얻힐 수 있다는 것. 웹서버 프로그램과 서블릿의 관계 서버환경 : 실행환경 : Web Server + WAS (Web Application Server) Server App 서블릿이란 : 조각난 서버어플리케이션 Server Application Let 의 약자로 생각하면 된다. 내가 이걸 공부하게 된 계기는 조회된 테이블의 목록을 엑셀로 만들어 다운로드 즉, 파일로 내뱉어야했는데 그 기능을 만들어준 후 컨트롤러에서는 파일을 완성했으나 jsp로..
컨트롤러는 서비스를 호출 ex)Resource(name=”RawdataService”) 서비스에서 DB가 연결하는 페이지를 만든다. 서비스를 상속받아 xml 호출하도록 impl에서 만든다. xml에서는 아이디를 정확하게 맞춰쓰고 prameterClass 와 resultClass를 통해 호출하도록 한다.(예시 ibatis) 다음 컨트롤러에서 List선언 객체(이름 정해서)를 담고 그 데이터에 서비스에서 DB연결 페이지를 정의해 담는다. 그리고 그걸 컨트롤러에서 띄어주도록 assAttribte를 한다. 서비스와 imlp를 만드는 이유 그건 바로 DAO를 보내면 그 중간을 연결해주는 역할이 없어서 도중에 오류가 나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(DB에서) 대신 impl와 서비스가 도중에 트랜잭션이라는..
Modelandview : JSP파일에서 던져지는 값을 받아 데이터 형태로 받아서 다시 반환 사용 ModelAttribute : JSP파일에서 나오는 model객체에 속성값 주입 혹은 바인딩 할때 사용 쉽게 말해서 modelAndView는 데이터와 이동하고자 하는 뷰페이지를 같이 저장해서 던지는 애 modelAttribute는 HTTP요청을 받아서 해당 데이터만 던지는 애 간단하게 설명한거 비교해보면 확연한 차이점이 있어 MAV는 데이터와"뷰" 함께 전달한다는점, 필요 데이터만 던지는것 아 이거 분명 더 길게 잘 정리한 파일이 있었는데 어디갔는지 모르겠당..ㅜㅜ 제때에 올리자..